본문 바로가기

믿음5

X세대 그리스도인과 우울증 ​ 'X세대 그리스도인'의 고통은 신앙으로 가중됩니다. 우리 세대가 한창 청년때 주로 들었던 메시지는 고지론입니다. 높이 올라가라는거죠. 모두가 열광했습니다. 그게 하나님의 뜻이라 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뻔한 거짓말인데, 그땐 어찌 감쪽같이 모두 그 메시지에 혹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생각해보면 예수는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라는 마귀의 유혹을 물리쳤는데 말이죠. 아마도 그땐 가능했기 때문이겠죠. 냉전이 종식되고, 신자유주의의 광풍이 몰아칠 때 우린 세계화와 경제성장이라는 신화 한복판에 있었습니다. 여기저기서 하나님의 뜻으로 높이 올라갔다는 이들의 간증이 들려왔고, 어느새 그들은 우리의 ‘영웅’이 되어있었죠. 그리고, 그 호황기가 지나간 지금. 한국사회는 올라갈 수 없는 구조가 되어있습니다.. 2018. 1. 31.
믿음이란 무엇인가 ​​1. 믿음이 무엇인가. 믿음이 나의 소유인가. 내 것인가. 믿음은 내 실력인가. 내가 과시할 나의 유산인가. 믿음으로 사람의 높고 낮음을 가리고, 믿음으로 자신의 욕망에 군불을 땔 수 있는가. 한국교회에게 믿음은 무엇인가. 우리에게 믿음은 무엇인가. 2. 한국교회의 문제는 전병욱이 성범죄를 저질렀기 때문도 아니요, 오정현이 큰 건물을 지었기 때문도 아니요, 조용기가 돈 지랄을 했기 때문도 아니다. 한국교회 문제는 믿음을 모르는 것이다. 수십년간, 십수년간 예수를, 그것도 열심히 믿어왔다면서 뭘 믿는지 모르고 믿는게 진짜 문제다. 3. 믿음이 무엇인가. 무엇을 믿는게 믿음인가. 예수를 믿는 것이다. 그러면 예수를 믿는 예수교는 예수의 무엇을 믿는가. 좋은 말씀? 착하게 살아라. 교회 잘 다녀라. 예배 .. 2017. 2. 7.
매사에 하나님을 핑계삼는 이에게 ​ '하나님께서...'라는 표현을 자주쓰는 사람. 믿음이 좋은게 아니라, 자존감이 낮은 것일 수 있습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의 실수나 잘못을 인정하기 어렵죠. 누군가 잘못을 지적하면 이를 받아들이는 것이 고통스럽습니다. 따라서, 방어기제가 작동되고, 핑계를 대며 자신을 합리화함으로 문제를 회피하려 합니다. 이런 경우 신앙은 좋은 핑계거리가 됩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하나님의 뜻은 이런 것 같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인도하셨다'. 이런 상투적인 표현으로 자신을 합리화하고픈 유혹을 느낄겁니다. 사실 '하나님께서'라는 표현은 그렇게 보면 '하나님 때문에'라는 의미일겁니다. 책.. 2015. 11. 11.
믿음이란 무엇인가 ​1. 믿음이 무엇인가. 믿음이 나의 소유인가. 내 것인가. 믿음은 내 실력인가. 내가 과시할 나의 유산인가. 믿음으로 사람의 높고 낮음을 가리고, 믿음으로 자신의 욕망에 군불을 땔 수 있는가. 한국교회에게 믿음은 무엇인가. 우리에게 믿음은 무엇인가. 2. 한국교회의 문제는 전병욱이 성범죄를 저질렀기 때문도 아니요, 오정현이 큰 건물을 지었기 때문도 아니요, 조용기가 돈 지랄을 했기 때문도 아니다. 한국교회 문제는 믿음을 모르는 것이다. 수십년간, 십수년간 예수를, 그것도 열심히 믿어왔다면서 뭘 믿는지 모르고 믿는게 진짜 문제다. 3. 믿음이 무엇인가. 무엇을 믿는게 믿음인가. 예수를 믿는 것이다. 그러면 예수를 믿는 예수교는 예수의 무엇을 믿는가. 좋은 말씀? 착하게 살아라. 교회 잘 다녀라. 예배 빠.. 2015. 11. 8.
신앙의 인문사회성 ​ 신앙을 개인의 문제라고만 생각하는 것 만큼 어리석은게 없습니다. 일단 나 하나만 봐도 그렇습니다. 한주의 생활 속에서 어디서, 누구에게, 얼마만큼의 영향을 받고 삽니까. 예배당에 모이는 사람 모두가 그렇습니다. 그곳에 모인 대부분의 사람이 헤아릴 수도 없이 많은 영향을 사회로부터 받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신앙은 사회와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하나요. 교인들끼리 산속에서 움막짓고 사는게 아니지 않습니까. 내 생각, 행동양식, 가치관등이 기실 가정, 일터, 미디어, 정치, 경제 등의 영향 속에 놓여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의 신앙관 또한 응당 그 영향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생각해봅시다. 목회자에게 듣는 설교. 그 설교자는 하나님과 단둘이 거처하나요. 그도 주변환경의 영향에 놓인 사람입니다. 그러니, 그가 읽.. 2015. 7. 11.